OpenAI에서 새로운 ChatGPT 모델 GPT-4o이 나왔습니다.

미래에 확실히 한발 더 다가섰다는 느낌이 들 만큼의 엄청난 성능 시연을 구경했습니다. 이제 아주 짧은 미래에는 간단하게 동시통역이나 음성으로 하는 간단한 서칭, 질의응답이 매우 쉬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시연 영상을 보자마자 GPT 구동 스마트 오디오를 집안 곳곳에 깔아 두고 싶다는 생각이 번뜩 들더군요.

이제는 진짜 인간의 대화 같은 느낌이 들더군요.

 

기술적인 측면에서 어떤 부분이 매우 인상 깊었고 매우 좋았다는 테크 리뷰어 같은 글을 쓰고 싶지는 않습니다.

저희는 투자자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어떤 변화를 맞이할지 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1. 왜 OpenAI는 GPT4o와 GPT Store를 무료로 풀었을까요? 

 

사실상 OpenAI의 현시점 수익 구조의 대부분은 구독 서비스일 것입니다. 구독서비스의 비중을 매우 축소시키는 전략을 펼쳤다는 건 매우 이례적인 일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2가지 이유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LLM 기반 AI는 경제적 해자가 없습니다.

Text 기반 LLM은 아주 단기간에 ChatGPT와 근접하거나 넘어서는 수준의 AI들을 시장에서 만들어냈습니다. 오히려 작은 파라미터로 ChatGPT와 비슷한 성능을 내는 대단한 경쟁력을 보여주는 AI들도 몇몇 눈에 띄일정도로 생각보다 기술력에 대한 경제적 해자가 없어 보이는 시장입니다. Text기반 LLM은 단기간에 시장이 포화상태로 접어들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OpenAI는 Omnimodel(시각, 청각, 텍스트가 가능한 멀티 모델)의 출시를 선점하면서 시장 선점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빠르게 움직였다고 봅니다. 사실상 AI 시장을 플랫폼 시장으로 분석한 듯합니다. 결국 애플의 앱스토어가 그랬듯, 유저수가 늘면 GPT Store의 경쟁력도 강화될 것이고, GPT Store의 경쟁력 강화가 결국에는 Network Effect(제품 서비스의 가치가 사용자의 증가와 함께 불어나는 것)을 만들어낼 것입니다. 결국 경제적 해자가 기술력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닌, 기존의 플랫폼 회사들과 같은 방식의 경제적 해자를 만들어 내겠다는 전략적인 목표를 가졌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예상했던 대로 구글의 I/O 데모를 보면 기술적인 경제적 해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하게 느꼈습니다.

 

ChatGPT의 수익화의 길은 생각보다 많다.

결국에는 기존에 있는 시장과 비슷한 수익화의 길을 가게 될 것입니다. TV나 넷플릭스, 영화산업, 그리고 검색산업 등이 그랬듯 광고를 받을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또한 이번 음성인식 기능으로 스마트 스피커, 스마트 가전 등 상당히 많은 곳에 로열티를 받으면서 GPT를 넣어줄 수 있을 수도 있으며, 애플과의 ChatGPT 탑재 협상 결과에 따라서 어느 정도 수익을 만들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결국 장기적으로 애플은 자체 AI로 대체를 할 것입니다.)

 

 

2. AI로 뚜렷한 수익화 창출이 가능한 비즈니스가 아직까지 안보입니다.

 

과연 AI는 아이폰과 같은 앱 생태계를 만들어낼 수 있는 포텐셜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저는 즉각 그렇다는 답변을 주지 못하겠습니다. 거의 대부분 ChatGPT나 바드가 가능한 일들이라 뭔가 부가적으로 창출해 낸다는 것 자체가 상당히 어려운 일인 듯합니다. 과연 이 시장에서 또 다른 우버 같은 프로그램이 나올 수 있을까요?

 

 

3. 그렇다면 AI의 장기적인 영향력은 어떨까요?

 

결국 AI는 사람의 업무를 어시스트해 주는 것에 특화되어 있는 툴입니다. 생산성 향상에 큰 도움을 주게 될 것이 분명하죠. (큰 업무를 매우 작은 클러스터로 쪼개서 AI가 결국 모든 업무를 다 하게 한다는 AI agent는 과연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이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을 대체할 수 있다고 현시점에서 보기 어려울 듯합니다.)

결국 기업들은 인건비나 기타 부가적인 비용 절감을 AI를 통해 진행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효율성 증대는 결국 더 높은 Gross Profit을 가능하게 하지요. 그렇다면 어느 산업군이 가장 큰 수혜를 볼까요? 전통적인 제조업이나 운송업에서는 그렇게까지 큰 효율성 증대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1차 산업과 2차 산업은 하드웨어의 발달 (로봇)과 AI가 결합되는 순간에 혁신적인 생산성 향상과 기업 profit 증대가 이뤄질 것입니다.
결국 사무직들의 비중이 큰 기업에 막대한 변화가 중장기적으로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