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st Mile

2019년 7월 마지막 생산 이후로 완전히 작별하게 된 폭스바겐(Volkswagen)의 비틀(Beetle)은 세계적인 명차로써 81년간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으며 폭스바겐의 시작점이자 아이콘으로 군림했던 자동차입니다.

 

비틀은 단순한 자동차가 아닌 자동차, 그리고 문화적 역사에 함께 했던 비틀은 폭스바겐 뿐만 아닌 전 세계인들의 문화의 아이콘으로써 폭스바겐에서는 이례적으로 단종되는 물건에 광고를 만들게 됩니다.

2019년 12월 31일 폭스바겐에서는 제품을 사라고 광고를 하는 평범한 광고가 아닌 지금까지 이 제품을 사랑해 준 사람을 위한 광고 만들었으며 이 광고에는 상당히 많은 역사가 담겨있습니다.

 

1930년대 대학살과 독재자의 아이콘인 히틀러의 명령으로 만들어진 비틀은 싸고 경제적이며 튼튼한 차였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닉 하게 비틀은 미국에서 자유와 사랑의 상징인 히피의 아이콘이 되어버리는 아주 이상한 역사를 가진 차이기도 하지요.

 

이 광고에 나오는 마켓팅을 통한 역사적 이야기를 이 글에서 한번 다뤄볼까 합니다.

 

Beetle Type1

비틀은 포르쉐 박사가 설계, 제작한 차로써 1938년에 만들어졌습니다. 2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생산을 얼마 하지 못하고 공장이 군수공장으로 바뀌면서 빛을 보지 못하는가 했지만,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영국으로 생산라인을 옮기면서 대박의 징조가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대망의 미국 시장의 문을 두들겨 보지만 처참하게 실패하고 맙니다.

 

1950년대 미국의 자동차들

1950년대 미국의 자동차들의 특징은 전부 크고 풍요롭고 럭셔리한 특징을 가졌었습니다. 전쟁특수를 누린 미국은 전쟁 이후 경제적 부흥의 시기로 들어가게 되었고, 풍요로운 삶을 즐겼습니다. 이는 곧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과잉 소비주의의 영향으로 인해 대배기량의 넉넉함과 디자인적으로 커다한 차체를 선호하게 됩니다. (반대로 유럽은 2차대전 이후 경제는 파탄이 났고, 1956년 수에즈 운하를 둘러싼 제 2차 중동대전 때문에 기름값이 비싸진 이유로 작고 경제적인 차를 개발하게 됩니다.)

 

이러한 시장적 차이 때문에 미국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비틀은 처참한 성적을 받게 됩니다. 작고 볼품없어 보이는 비틀은 1949년~1950년 까지 미국 시장에서 단 2대를 팔고, 1951년에는 511대, 그리고 1952년에는 601대를 파는 대참사가 일어나게 되죠.

 

때문에 1959년 비틀은 미국의 광고 회사 Doyle Dane Bernbach (DDB) 에 광고를 의뢰하게 됩니다. 그리고 소비자들의 생각을 바꾸게 되는 결정적인 광고 하나가 탄생하게 되죠.

 

1959 년 Think Small 광고

하얀 바탕에 왼쪽 상단에 점 하나 찍혀있듯 비틀이 작고 초라하게 박혀 있는 이 광고는 큰걸 선호하는 미국시장에 사실상 단점을 과감하게 고의로 들어내는 전략을 사용하게 됩니다. Think small 이라는 작게 생각하라라는 문구와 함께 싸고 경제적인 차임을 홍보함과 동시에 작음으로써 어떤 이점이 있는지 상세하게 나열하고 있습니다.

 

(+ 왼쪽 상단인 이유가 있습니다. 사람들은 책을 읽을때 왼쪽 상단부터 보는 습관이 있어서 아무리 작은 이미지라도 왼쪽 상단이 눈에 더 잘 띄는 심리적인 이유를 통해 작지만 더욱 잘 보이는 전략을 사용하게 된겁니다.)

 

이 초라한 광고로 미국에서는 엄청난 인기를 얻게 됩니다.

 

The Last Mile 에 나오는 Think Small 문구

미국 문화에서 Counter Culture (반문화, 또는 주류 문화에 질려하여 다른 문화를 찾는 문화를 말함) 은 정말 큰 의미를 지니게 됩니다. 1950년대 주류의 음악이였던 컨트리, 재즈, 그리고 리듬 앤 블루스를 한번에 날려버련 Rock n Roll 의 시작도 반주류 문화에서 시작이 되었습니다. 기존에 있었던 딱딱한 예절과 사회 통념을 한방에 날려버린 엘비스 프레슬리가 TV에 나와서 당시 사회적으로 백인이 하면 안됬던 춤을 추면서 기존에 있던 방식을 완전히 뒤집어 버리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이런 배경에는 엘비스와 같은 힘이있고 독창적인 아이콘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있었던것과는 전혀 다른, 그리고 다른 삶을 원하는 이들에게 다른 대안이 될수있었던게 필요한거죠.

 

이걸 Think Small 이라는 광고로 비틀은 미국 시장에서 완전히 성공하게 됩니다. 1960년대 초중반, 락과 비틀즈의 인기와 함께 시대적으로 반문화 정서가 물결을 이루고 이 물결에 완벽한 아이콘이 될수있던 비틀은 작고 귀여운 기존 시장에 있었던 그 어떤 차와는 다른 디자인과, 연비에 따른 경제성, 그리고 기존 시장이 제시한 과잉소비의 아이디어와 전혀 다른 생각의 전환으로 미국인들, 특히 히피들의 상징이 되면서 자유의 아이콘이 된겁니다. 히피들의 상징인 문구나 옷은 The Last Mile 에서 많이 찾아볼수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져서 비틀은 고장난 차를 광고함으로써 차량의 퀄리티에 대한 홍보를 성공하게 되면서 미국 시장을 꽉 잡게 됩니다.

 

불량차를 의미하는 Lemon 이라는 단어가 들어가있습니다.
Not A Lemon 이라는 문구가 바로 Lemon 광고를 의미하는것입니다,

불량차를 뜻하는 Lemon 이라는 문구와 함께 불량차같이 안 보이는 비틀 한대가 있습니다. 하지만 설명에는 '이 차는 작은 사물함에 있는 크롬 장식에 작은 흠집이 있어서 교체에 들어간다' 는 문구가 써 있습니다. 정말 별거 아닌것까지 신경쓰는 폭스바겐의 퀄리티 관리가 시장에서 소비자에게 신뢰성을 깊게 심어줌으로써 실질적으로 믿을만한 차임을 강조했습니다. 고장난 차를 보여줌으로 소비자에게 역설적으로 이 차는 튼튼하다는 신뢰성을 심어주게 된것이죠.

 

이렇게 미국 시장에서 비주류였던, 실패 할 수 밖에 없었던 비틀은 대 성공을 거두며 문화의 아이콘으로써 군림하게 됩니다.

 

앤디 워홀이 사진기를 들고 있다.
앤디 워홀의 작품

이와같은 인기로 인해 비틀은 많은 셀럽들에게 사랑을 받게 되고 The Last Mile 동영상에는 지금까지 비틀을 사랑했던, 또는 연관이 있던 셀럽들의 환호와 함께 날아가는 딱정벌래가 되어 사라지게 됩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자유의 상징이, 어떤 사람에게는 예술적 가치가 되었으며, 또 많은 사람들에게는 추억이 담겨있는 튼튼한 차로써 자신의 임무를 다 하게 된 폭스바겐의 비틀은 80년가량 사람들의 곁에 있으면서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온 역사적인 차였습니다.

 

미래를 보고 있는 과거의 아이콘

 

비록 현 시대의 큰 차가 유행하는 소비자의 소비 패턴에 의해 지금은 사라지게 된 비틀이지만, The Last Mile 중간에 나오는 풍력 발전기 들을 보면서 현 상황을 잠깐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폭스바겐은 최근 전기차로의 완전한 탈바꿈을 예고하였고 이를 풍력 발전소를 멀리서 바라보는 비틀의 모습으로 풀어낸 장면이 아닐까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미래를 위해, 그리고 더 친환경 적인 차를 위해 없어져야만 하는 구 시대적 아이콘을 나타낸것은 아닐까 많은 생각이 곂치더군요. 세계적인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면, 과거의 비틀이 제시했던 Think Small 이 현대에 와서도 중요하게 한번 생각해 봐야하는 가치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번 팰리세이드 전복 사고에 대해 사람들의 의견이 반반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전적으로 운전자의 실수라고 생각하는 쪽과 다른 한편으로는 운전자보다는 현대 측에서 자동차를 잘못 만들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알아봐야 할 것은 

 

1. 운전자의 실수가 맞는가? 그리고

2. 왜 현대 자동차는 내리막길에서 기어를 R로 두고 내려갔을때 시동이 꺼지고 기어가 N으로 바뀌게 설정했는가?에 대해 알아봐야 합니다.

 

 

1. 운전자의 실수가 맞는가?

 

거두절미하고 100% 운전자의 실수가 맞습니다.

 

상황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운전자는 내리막길에서 차를 앞으로 조작하려고 기어 조작을 D로 하고 싶었으나 실수로 R으로 기어를 잘못 바꿨습니다.

 

내리막길에 의해 차는 앞으로 내려가게 되는데 차에서 퉁 소리가 납니다 (기어를 보호하려고 N으로 바뀌면서 시동이 꺼지는 소리입니다).

이상함을 느낀 운전자는 이상하다고만 말을 하고 계기판을 보지 않고 길을 가다가 지인을 만나게 됩니다.

그래서 브레이크를 밟고 서서 느긋하게 지인과 대화를 합니다. (1~2회 정도 남아있는 브레이크를 전부 소진해버리고 맙니다)

그 후 다시 내려가는데 이제 브레이크가 말을 듣지 않고 가속도를 받아 계속 내려오다가 전복되게 됩니다.

 

 

문제점

 

1. 운전자는 직접 확인하지 않고 기어를 정확하게 조작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기어를 바꿀 때 계기판에 D 인지, R인지 어떤 조작을 했는지 전부 나옵니다. 그것마저 확인하지 않았다는 건 명백한 실수입니다.

 

2. 운전자는 차량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가 부족합니다. 왜 R로 앞으로 내려가면 안 되는지, 계기판에 어떤 경고등이 있는지, 어떤 소리가 나면 안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것으로 보입니다.

 

3. 이해도가 부족하면 매뉴얼대로 운전을 해야 하지만 팰리세이드 운전자는 차량 운전 교육 때 배우는 계기판을 잘 확인하라는 원칙조차 지키지 않았습니다. 퉁 소리와 함께 시동이 꺼지면 계기판에 기어가 N으로 바뀌며, 시동이 꺼져서 RPM 게이지가 0으로 바뀌면서 모든 경고등이 전부 들어오게 됩니다. 계기판만 확인했어도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계기판을 확인할 시간은 넘치고도 넘쳤습니다. 길 가다가 만난 지인과 느긋하게 대화까지 하는데 그때까지 계기판을 안 본 건 운전자의 잘못입니다.

 

 

팰리세이드 전복 사고 운전자는 기본적인 차량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고 운전에 기본기까지 부족했던 상황이었습니다.

다시 한번 대한민국의 운전 교육이 얼마나 형편없었는지에 대해 느낀 사건이었습니다.

 

 

2. 왜 내리막길에서 현대 자동차는 시동이 꺼지고 기어가 N으로 바뀌게 설정했는가?

 

간단하게 말해서 트랜스미션(변속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그렇습니다.

수동 운전하시는 분들은 전부 아실만한 이야기입니다. 언덕길에서 출발하다 클러치를 때고 뒤로 밀리면 시동이 꺼지죠.

이와 같은 이유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해서 엔진이 돌고 있는 힘보다 더 강한 역방향 힘이 들어오게 되면 당연히 변속기나 엔진 둘 중에 하나가 망가지게 되어버립니다.

 

여기서 그럼, 사람 목숨보다 엔진이나 변속기가 중요한 거냐? 이런 생각을 하실 수 있습니다.

 

변속기 보호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변속기가 고장 나버리면 다음 상황에 전혀 대처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됩니다.

주행 중 다른 이유로 차가 멈춰서게 되는 경우, 변속기가 고장 나버리면 일반 도로에서 다시 달릴 수 없는 상황이 생기게 되고 그 상태로 2차 사고가 일어날 위험에 빠지게 됩니다.

 

그럼 다시 전복상황으로 돌아와서 운전자는 어떻게 대처하면 됬을까요?

실수로 R을 누르고 차가 앞으로 나가는 상황에서 운전자는 계기판을 확인하고 문제가 생겼음을 인지한 뒤, 그대로 브레이크로 차를 멈추고 다시 시동을 걸고 D로 바꾸면 변속기도 고장도 안 나고 차가 뒤집어 지는 일도 없었을 겁니다.

 

결론 - 이번 팰리세이드 전복 사고는 100% 운전자 실수이다.

 

몇일전, 검정치마의 3번째 정규 앨범의 파트2, THIRSTY 앨범이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상당히 치밀한 구성과 연결성이 돋보이는 앨범이다. 

이번 글에서는 앨범 리뷰를 하려는것이 아닌, 검정치마 여자혐오 논란에 대해 몇가지 반박글을 적어보고자 한다.

 

THIRSTY 앨범에서는 몇몇 가사들의 난해함과 선정적이게 해석될수 있는 부분을 가지고 여성 혐오 논란이 일고 있다.

선정적인 가사를 집어서 성매매를 연상시키며 성매매 옹호 가사가 아니냐는 글들이 커뮤니티 사이에서 떠돌고 있으며

멜론이나 벅스와 같은 사이트에서 검정치마 앨범에 비난하는 글들이 올라오는 상황을 보면서

앨범이라는 특수성에 대해 많은 대중들이 모르는것인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THIRSTY 라는 앨범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매우 근본적인 질문을 하나 해결해야 한다.

과연 앨범이란 무엇일까?

 

 

위 질문으로 깊게 들어가면 너무나도 긴 이야기가 될것같아서 컨셉트 앨범의 설명만 간략하게 하고 넘어가겠다.

 

앨범은 과거 1960년대 이전으로는 곡들의 묶음 형태에 가까웠었다. 곡 하나하나가 따로 의미가 있는 앨범 형태가 주를 이뤘고

사실상 앨범 보다는 곡 하나를 소비한다는 개념이였다. (현 한국 음악시장과 상당히 유사한 부분이다)

1960년대 밥딜런이 포크송에서 벗어나서 자신의 감정과 음악적으로 진실성에 대해 생각 하기 시작하고

비틀즈의 자기성찰적인 작곡으로 전환이 앨범이라는 개념을 하나의 유기체로써 역할을 바꿔 나가기 시작했다.

 

개인적으로 앨범이라는 포멧으로 가장 큰 발전과 전환점을 이끌어낸 앨범이 바로 비틀즈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라고 생각한다.

이 페퍼상사는 컨셉트 앨범에 시초이다.

컨셉트 앨범이란 각각의 노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앨범 전체가 하나의 주제를 중점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앨범이다.

비틀즈의 페퍼상사는 자신들이 가상의 밴드가 되어서 공연 하나를 들려주는 형태의 앨범이다.

 

또 하나의 컨셉트 앨범의 예를 들어보자면 핑크 플로이드의 "The Dark Side Of The Moon"을 예시로 들수 있다.

이 앨범의 주제는 상당히 난해한데 인간의 광기와 죽음에 대해 심오한 고찰을 하고 있는 앨범이다.

(각 앨범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추후 앨범 리뷰를 통해 하겠다.)

 

위와 같이 앨범이라는 것은 한 주제를 이야기를 풀어낼수 있는 하나의 매개체로 역할을 할 수가 있다.

이 부분을 잘 기억해 두고 검정치마의 조휴일씨가 앨범 설명으로 적어둔 부분을 잠시 살펴보자

 

 

"뭘 기대하는지 알아

어디서 들어봤겠지
넌 근데 잘못 온 거야
여긴 춤과 눈물에 순서가 없는 걸
- Bollywood
 
뻔뻔하고 그로테스크한 앨범을 만들고 싶었다. 
그럼에도 나에겐 하나같이 다 어쩔수 없는 사랑 노래처럼 들린다. 하긴, 전부 다 내가 지어낸 얘기라고 해도 영원히 알 순 없겠지"
 
 
처음 앨범을 듣기 전에 저 글을 읽으면서 필자는
뻔뻔하고 그로테스크한 앨범을 만들고 싶었다 라는 뜻이 무엇일까 라는 생각을 가장 먼저 하게 되었고
문득 2가지 생각이 내 머리속에 스쳐 지나갔다.
 
1. 이 앨범은 독자적 앨범이 아닌 전 앨범 TEAM BABY의 파트 2 앨범이다. (앨범이 이어진다는 뜻이다)
2. TEAM BABY는 불안할 정도로 한 여자에 대한 순애보를 그리고 있던 앨범이였다. 필자가 말한 "불안할 정도" 라는 뜻은
사랑은 완벽할수 없고 영원할수 없다고 생각하며 완벽할것만 같았던 사랑도 사소한 일로 틀어지기 마련이다. 
만약 영원할것이라 믿었던 사랑이 틀어지게 된다면 감당할수 없는 충격으로 다가올수 있다. 
때문에 너무나도 완벽하게 보여지기에 불안한 사랑이라고 TEAM BABY의 앨범을 평가한것이다.
 
파트 1에서 영원한 사랑을 주제로 앨범의 이야기를 풀어 나갔다면
파트 2에서는 그 사랑이 깨져버린 이야기를 풀어 나갔다.
너무나도 완벽했던 사랑이 산산 조각이 났을때 사람은 과연 어디까지 떨어질수 있을까?
라는 생각으로부터 출발한 앨범인 것이다.
 
"광견일기" 에서 검정치마가 의도한 것은, 원나잇 일수도, 성매매를 은유한것일수도 있고
"빨간 나를"에서 말하는 "내 여자는 어딘가에서 울고 넌 내가 좋아하던 천박한 계집아이" 라는 대목은
광견일기와 같이 해석될수도, 전 여자친구에 대한 이야기일수도 있는 해석하기 나름인 대목이라고 보여진다.
 
하지만 이 모든것은 이러한 행동을 정당화 하려는것이 아닌 한 인간의 절망적인 모습을 보여주려 한다는것을
마지막 "피와 갈증" 이라는 곡에서 파트1 앨범의 순애보 사랑 노래 "Love is all" 이라는 곡과 대조시키면서 세련되게 보여줬다.
 

 

 

 

이 앨범으로 검정치마는 이별뒤에 광기와 일탈, 그리고 마지막에 남는 허무함과 쓸쓸함을 통해

진정한 사랑이란 무엇일까? 이별이 한 인간에게 남기는 그로테스크한 아픔은 무엇일까?

라는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는 것이다.

 

똑같은 이별이라는 주제로 컨셉트 앨범을 만들어낸 언니네 이발관은

"가장 보통의 존재"에서 인간의 감정선을 따라 이별의 아픔을 그려낸 품위있는 컨셉트 앨범을 만들었다면

검정치마는 인간의 원초적인 아픔과 본능을 그려낸 현실적일수도 있는, 본능적인 컨셉트 앨범을 만들었다.

 

 

여기까지 앨범에 관해서 알아보았고 마냥 성매매나 여성 혐오를 찬양하고 추천하는 스토리가 아니라는 부분을 반백해보았다.

그럼 여기서 의문점이 드는 부분이 생긴다. 저런 주제에 저런 표현들이 과현 이 사회에 용납이 되야하는가?

이것이 용납이 되지 않는다는건 사회를 퇴보 시키는것과 마찬가지이다.

60-80년대 가사 하나에 민감하게 반응해서 많은것을 검열해버렸던 그 시대

예술의 표현의 자유를 막아버리는것이 용납되었던 그 시대

그런것이 진정 추구해야할 사회라고 생각하는가?

'음악 > 음악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형적인 한국 음악 시장  (0) 2017.01.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