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일전, 검정치마의 3번째 정규 앨범의 파트2, THIRSTY 앨범이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상당히 치밀한 구성과 연결성이 돋보이는 앨범이다. 

이번 글에서는 앨범 리뷰를 하려는것이 아닌, 검정치마 여자혐오 논란에 대해 몇가지 반박글을 적어보고자 한다.

 

THIRSTY 앨범에서는 몇몇 가사들의 난해함과 선정적이게 해석될수 있는 부분을 가지고 여성 혐오 논란이 일고 있다.

선정적인 가사를 집어서 성매매를 연상시키며 성매매 옹호 가사가 아니냐는 글들이 커뮤니티 사이에서 떠돌고 있으며

멜론이나 벅스와 같은 사이트에서 검정치마 앨범에 비난하는 글들이 올라오는 상황을 보면서

앨범이라는 특수성에 대해 많은 대중들이 모르는것인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THIRSTY 라는 앨범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매우 근본적인 질문을 하나 해결해야 한다.

과연 앨범이란 무엇일까?

 

 

위 질문으로 깊게 들어가면 너무나도 긴 이야기가 될것같아서 컨셉트 앨범의 설명만 간략하게 하고 넘어가겠다.

 

앨범은 과거 1960년대 이전으로는 곡들의 묶음 형태에 가까웠었다. 곡 하나하나가 따로 의미가 있는 앨범 형태가 주를 이뤘고

사실상 앨범 보다는 곡 하나를 소비한다는 개념이였다. (현 한국 음악시장과 상당히 유사한 부분이다)

1960년대 밥딜런이 포크송에서 벗어나서 자신의 감정과 음악적으로 진실성에 대해 생각 하기 시작하고

비틀즈의 자기성찰적인 작곡으로 전환이 앨범이라는 개념을 하나의 유기체로써 역할을 바꿔 나가기 시작했다.

 

개인적으로 앨범이라는 포멧으로 가장 큰 발전과 전환점을 이끌어낸 앨범이 바로 비틀즈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라고 생각한다.

이 페퍼상사는 컨셉트 앨범에 시초이다.

컨셉트 앨범이란 각각의 노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앨범 전체가 하나의 주제를 중점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앨범이다.

비틀즈의 페퍼상사는 자신들이 가상의 밴드가 되어서 공연 하나를 들려주는 형태의 앨범이다.

 

또 하나의 컨셉트 앨범의 예를 들어보자면 핑크 플로이드의 "The Dark Side Of The Moon"을 예시로 들수 있다.

이 앨범의 주제는 상당히 난해한데 인간의 광기와 죽음에 대해 심오한 고찰을 하고 있는 앨범이다.

(각 앨범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추후 앨범 리뷰를 통해 하겠다.)

 

위와 같이 앨범이라는 것은 한 주제를 이야기를 풀어낼수 있는 하나의 매개체로 역할을 할 수가 있다.

이 부분을 잘 기억해 두고 검정치마의 조휴일씨가 앨범 설명으로 적어둔 부분을 잠시 살펴보자

 

 

"뭘 기대하는지 알아

어디서 들어봤겠지
넌 근데 잘못 온 거야
여긴 춤과 눈물에 순서가 없는 걸
- Bollywood
 
뻔뻔하고 그로테스크한 앨범을 만들고 싶었다. 
그럼에도 나에겐 하나같이 다 어쩔수 없는 사랑 노래처럼 들린다. 하긴, 전부 다 내가 지어낸 얘기라고 해도 영원히 알 순 없겠지"
 
 
처음 앨범을 듣기 전에 저 글을 읽으면서 필자는
뻔뻔하고 그로테스크한 앨범을 만들고 싶었다 라는 뜻이 무엇일까 라는 생각을 가장 먼저 하게 되었고
문득 2가지 생각이 내 머리속에 스쳐 지나갔다.
 
1. 이 앨범은 독자적 앨범이 아닌 전 앨범 TEAM BABY의 파트 2 앨범이다. (앨범이 이어진다는 뜻이다)
2. TEAM BABY는 불안할 정도로 한 여자에 대한 순애보를 그리고 있던 앨범이였다. 필자가 말한 "불안할 정도" 라는 뜻은
사랑은 완벽할수 없고 영원할수 없다고 생각하며 완벽할것만 같았던 사랑도 사소한 일로 틀어지기 마련이다. 
만약 영원할것이라 믿었던 사랑이 틀어지게 된다면 감당할수 없는 충격으로 다가올수 있다. 
때문에 너무나도 완벽하게 보여지기에 불안한 사랑이라고 TEAM BABY의 앨범을 평가한것이다.
 
파트 1에서 영원한 사랑을 주제로 앨범의 이야기를 풀어 나갔다면
파트 2에서는 그 사랑이 깨져버린 이야기를 풀어 나갔다.
너무나도 완벽했던 사랑이 산산 조각이 났을때 사람은 과연 어디까지 떨어질수 있을까?
라는 생각으로부터 출발한 앨범인 것이다.
 
"광견일기" 에서 검정치마가 의도한 것은, 원나잇 일수도, 성매매를 은유한것일수도 있고
"빨간 나를"에서 말하는 "내 여자는 어딘가에서 울고 넌 내가 좋아하던 천박한 계집아이" 라는 대목은
광견일기와 같이 해석될수도, 전 여자친구에 대한 이야기일수도 있는 해석하기 나름인 대목이라고 보여진다.
 
하지만 이 모든것은 이러한 행동을 정당화 하려는것이 아닌 한 인간의 절망적인 모습을 보여주려 한다는것을
마지막 "피와 갈증" 이라는 곡에서 파트1 앨범의 순애보 사랑 노래 "Love is all" 이라는 곡과 대조시키면서 세련되게 보여줬다.
 

 

 

 

이 앨범으로 검정치마는 이별뒤에 광기와 일탈, 그리고 마지막에 남는 허무함과 쓸쓸함을 통해

진정한 사랑이란 무엇일까? 이별이 한 인간에게 남기는 그로테스크한 아픔은 무엇일까?

라는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는 것이다.

 

똑같은 이별이라는 주제로 컨셉트 앨범을 만들어낸 언니네 이발관은

"가장 보통의 존재"에서 인간의 감정선을 따라 이별의 아픔을 그려낸 품위있는 컨셉트 앨범을 만들었다면

검정치마는 인간의 원초적인 아픔과 본능을 그려낸 현실적일수도 있는, 본능적인 컨셉트 앨범을 만들었다.

 

 

여기까지 앨범에 관해서 알아보았고 마냥 성매매나 여성 혐오를 찬양하고 추천하는 스토리가 아니라는 부분을 반백해보았다.

그럼 여기서 의문점이 드는 부분이 생긴다. 저런 주제에 저런 표현들이 과현 이 사회에 용납이 되야하는가?

이것이 용납이 되지 않는다는건 사회를 퇴보 시키는것과 마찬가지이다.

60-80년대 가사 하나에 민감하게 반응해서 많은것을 검열해버렸던 그 시대

예술의 표현의 자유를 막아버리는것이 용납되었던 그 시대

그런것이 진정 추구해야할 사회라고 생각하는가?

'음악 > 음악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형적인 한국 음악 시장  (0) 2017.01.08

+ Recent posts